한국인 다문화 결혼늘어 전체 혼인의 8.3%

한국인 간 결혼은 6.7% 감소하고 다문화 결혼은 0.6%포인트 상승

6년 연속 감소하던 한국인이 다문화 결혼은 지난해 한류 열풍으로 반등하면서 전체 혼인의 8.3%를 차지했다.

작년 한국인 간 결혼이 24만2538건으로 전년보다 6.7%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수치다. 이에 따라 지난해 다문화 결혼이 전체 혼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3%로 전년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다문화 결혼을 유형별로 보면 아내가 외국인이 65.0%로 가장 많았고, 남편이 외국인(19.6%), 어느 한쪽이 귀화자(15.4%) 순이었다. 비중을 전년과 비교하면 외국인 아내는 0.7%포인트 감소했지만, 외국인 남편은 0.2%포인트, 귀화자는 0.4%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  평균 초혼 연령은 남편 36.1세, 아내 28.1세
외국 출신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이 27.7%로 가장 많았고, 중국(25.0%), 태국(4.7%) 순이었다. 베트남 아내는 2016년 처음으로 중국을 앞지른 이후 작년에는 그 격차를 벌렸다. 태국 출신 아내는 비중 자체가 높지는 않지만, 전년보다 1.4%포인트 늘며 증가세가 도드라졌다.

외국인 남편 국적은 중국이 10.2%로 가장 많았고 미국(6.4%), 베트남(2.7%) 순이었다. 다문화 혼인을 연령대로 보면 남편 혼인 연령은 45세 이상이 전체의 26.4%로 가장 많았다. 아내의 연령은 20대 후반이 27.7%로 가장 많았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편 36.1세, 아내 28.1세였다. 연령차를 보면 남편 연상 부부가 77.7%로 가장 많았다.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 부부는 39.5%로 전년보다 0.7%포인트 줄었다.

거주 지역별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0.6%) 전북(9.4%) 순으로 높고, 세종(5.4%)·대전(6.0%) 순으로 낮았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어린 신부’가 사회 문제가 되면서 법무부가 결혼이민자 비자 발급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으로 다문화 혼인 건수가 지속해서 감소했다”며 “그러나 한류 열풍으로 최근 베트남, 태국 혼인이 증가하면서 건수가 소폭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 결혼 기간 8년으로 증가 이혼 급감
작년 다문화 이혼은 1만307건으로 1년 전보다 3.0%(324건)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이혼(10만6천건·1.2% 감소)보다 감소율이 가파르다.

다문화 이혼이 전체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7%로 전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다문화 이혼은 2011년 1만4천450건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혼 부부 구성을 유형별로 보면 외국인 아내(48.2%), 귀화자(37.6%), 외국인 남편(14.2%) 순으로 많았다.

이혼한 외국 출신 아내 국적은 중국이 4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베트남(26.0%), 필리핀(3.8%) 순이였다.

이혼한 외국 출신 남편 국적은 중국이 12.7%로 가장 많았고, 일본(4.3%), 미국(2.1%)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이혼 연령은 남편 48.7세, 아내 38.9세였다. 미성년자녀가 있는 부부의 비중은 36.0%로 증가 추세다.

평균 결혼생활 지속기간(결혼 후 이혼까지 동거 기간)은 7.8년으로 전년보다 0.4년 늘었다. 조사를 시작한 2008년과 비교하면 4.1년 증가했다.

◇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비중 5.2%
작년 다문화 출생은 1만8천440명으로 전년보다 5.1%(991명) 감소했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2%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이러한 비중은 2008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외국인 출산 여성의 국적은 베트남(34.7%), 중국(22.0%), 필리핀(7.3%) 순이었다. 외국인·귀화자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29.5세로, 전체 평균 32.6세보다 3.1세 어렸다.
한편, 작년 다문화 사망자는 2천2명으로 1년 전보다 7.3%(135명) 증가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haninpo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